• 문서
  • 쿠버네티스 블로그
  • 교육
  • 파트너
  • 커뮤니티
  • 사례 연구
  • 버전
    Release Information v1.23 v1.22 v1.21 v1.20 v1.19
  • 한국어 Korean
    English 中文 Chinese 日本語 Japanese Français Deutsch Español
    • 홈
      • 사용 가능한 문서의 버전
    • 시작하기
      • 학습 환경
      • 프로덕션 환경
        • 컨테이너 런타임
        • 배포 도구로 쿠버네티스 설치하기
          • kubeadm으로 클러스터 구성하기
            • kubeadm 설치하기
            • Troubleshooting kubeadm
            • Creating a cluster with kubeadm
            • kubeadm API로 컴포넌트 사용자 정의하기
            • 고가용성 토폴로지 선택
            • Creating Highly Available Clusters with kubeadm
            • Set up a High Availability etcd Cluster with kubeadm
            • Configuring each kubelet in your cluster using kubeadm
            • Dual-stack support with kubeadm
          • Kops로 쿠버네티스 설치하기
          • Kubespray로 쿠버네티스 설치하기
        • 턴키 클라우드 솔루션
        • 쿠버네티스에서 윈도우
          • 쿠버네티스에서 윈도우 컨테이너
          • 쿠버네티스에서 윈도우 컨테이너 스케줄링을 위한 가이드
      • 모범 사례
        • 대형 클러스터에 대한 고려 사항
        • 여러 영역에서 실행
        • 노드 구성 검증하기
        • Enforcing Pod Security Standards
        • PKI 인증서 및 요구 사항
    • 개념
      • 개요
        •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
        • 쿠버네티스 컴포넌트
        • 쿠버네티스 API
        • 쿠버네티스 오브젝트로 작업하기
          • 쿠버네티스 오브젝트 이해하기
          • 쿠버네티스 오브젝트 관리
          • 오브젝트 이름과 ID
          • 네임스페이스
          • 레이블과 셀렉터
          • 어노테이션
          • Finalizers
          • Owners and Dependents
          • 필드 셀렉터
          • 권장 레이블
      • 클러스터 아키텍처
        • 노드
        • 컨트롤 플레인-노드 간 통신
        • 컨트롤러
        • 클라우드 컨트롤러 매니저
        • 가비지(Garbage) 수집
        • 컨테이너 런타임 인터페이스(CRI)
      • 컨테이너
        • 이미지
        • 런타임클래스(RuntimeClass)
        • 컨테이너 환경 변수
        • 컨테이너 라이프사이클 훅(Hook)
      • 워크로드
        • 파드
          • 파드 라이프사이클
          • 초기화 컨테이너
          • 파드 토폴로지 분배 제약 조건
          • 중단(disruption)
          • 임시(Ephemeral) 컨테이너
        • 워크로드 리소스
          • 디플로이먼트
          • 레플리카셋
          • 스테이트풀셋
          • 데몬셋
          • 잡
          • 완료된 잡 자동 정리
          • 크론잡
          •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
      • 서비스, 로드밸런싱, 네트워킹
        • 서비스
        • 토폴로지 키를 사용하여 토폴로지-인지 트래픽 라우팅
        • 서비스 및 파드용 DNS
        •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 연결하기
        • 인그레스 컨트롤러
        • 인그레스(Ingress)
        • 서비스 내부 트래픽 정책
        • 엔드포인트슬라이스
        • 토폴로지 인지 힌트
        • 네트워크 정책
        • IPv4/IPv6 이중 스택
      • 스토리지
        • 볼륨
        • 퍼시스턴트 볼륨
        • Projected Volumes
        • 스토리지 클래스
        • 임시 볼륨
        • 동적 볼륨 프로비저닝
        • 볼륨 스냅샷
        • 볼륨 스냅샷 클래스
        • CSI 볼륨 복제하기
        • 스토리지 용량
        • 노드 별 볼륨 한도
        • 볼륨 헬스 모니터링
      • 구성
        • 구성 모범 사례
        • 컨피그맵(ConfigMap)
        • 시크릿(Secret)
        • 파드 및 컨테이너 리소스 관리
        • kubeconfig 파일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접근 구성하기
      • 보안
        • 클라우드 네이티브 보안 개요
        • 쿠버네티스 API 접근 제어하기
        • Pod Security Standards
        • Pod Security Admission
        • Pod Security Policies
      • 스케줄링, 선점(Preemption), 축출(Eviction)
        • 쿠버네티스 스케줄러
        • 노드에 파드 할당하기
        • 파드 오버헤드
        • 테인트(Taints)와 톨러레이션(Tolerations)
        • 노드-압박 축출
        • API를 이용한 축출(Eviction)
        • 파드 우선순위(priority)와 선점(preemption)
        • 확장된 리소스를 위한 리소스 빈 패킹(bin packing)
        • Scheduling Framework
        • 스케줄러 성능 튜닝
      • 정책
        • 리밋 레인지(Limit Range)
        • 리소스 쿼터
        • 파드 시큐리티 폴리시
        • Process ID Limits And Reservations
        • 노드 리소스 매니저
      • 클러스터 관리
        • 인증서
        • 리소스 관리
        • 클러스터 네트워킹
        • Traces For Kubernetes System Components
        • 로깅 아키텍처
        • 시스템 로그
        • 쿠버네티스 시스템 컴포넌트에 대한 메트릭
        • 쿠버네티스에서 프락시(Proxy)
        • API Priority and Fairness
        • 애드온 설치
      • 쿠버네티스 확장
        • 쿠버네티스 API 확장하기
          • 커스텀 리소스
          • 쿠버네티스 API 애그리게이션 레이어(aggregation layer)
        • 오퍼레이터(operator) 패턴
        • 컴퓨트, 스토리지 및 네트워킹 익스텐션
          • 네트워크 플러그인
          • 장치 플러그인
        • 서비스 카탈로그
    • 태스크
      • 도구 설치
        • macOS에 kubectl 설치 및 설정
        • 리눅스에 kubectl 설치 및 설정
        • 윈도우에 kubectl 설치 및 설정
      • Monitoring, Logging, and Debugging
        • Troubleshooting Applications
          • Debug Pods
          • Debug Services
          • Debug a StatefulSet
          • Debug Init Containers
          • Debug Running Pods
          • Determine the Reason for Pod Failure
          • Get a Shell to a Running Container
        • Troubleshooting Clusters
          • Resource metrics pipeline
          • Tools for Monitoring Resources
          • Monitor Node Health
          • Debugging Kubernetes nodes with crictl
          • Auditing
          • Developing and debugging services locally using telepresence
      • 클러스터 운영
        • kubeadm으로 관리하기
          • Configuring a cgroup driver
          • kubeadm을 사용한 인증서 관리
          • Reconfiguring a kubeadm cluster
          • kubeadm 클러스터 업그레이드
          • 윈도우 노드 추가
          • 윈도우 노드 업그레이드
        • Migrating from dockershim
          • Changing the Container Runtime on a Node from Docker Engine to containerd
          • Migrate Docker Engine nodes from dockershim to cri-dockerd
          • Find Out What Container Runtime is Used on a Node
          • Check whether Dockershim deprecation affects you
          • Migrating telemetry and security agents from dockershim
        • 메모리, CPU 와 API 리소스 관리
          • 네임스페이스에 대한 기본 메모리 요청량과 상한 구성
          • 네임스페이스에 대한 기본 CPU 요청량과 상한 구성
          • 네임스페이스에 대한 메모리의 최소 및 최대 제약 조건 구성
          • 네임스페이스에 대한 CPU의 최소 및 최대 제약 조건 구성
          • 네임스페이스에 대한 메모리 및 CPU 쿼터 구성
          • 네임스페이스에 대한 파드 쿼터 구성
        • 인증서
        • 네트워크 폴리시 제공자(Network Policy Provider) 설치
          • Use Antrea for NetworkPolicy
          • 네트워크 폴리시로 캘리코(Calico) 사용하기
          • 네트워크 폴리시로 실리움(Cilium) 사용하기
          • 네트워크 폴리시로 큐브 라우터(Kube-router) 사용하기
          • 네트워크 폴리시로 로마나(Romana)
          • 네트워크 폴리시로 위브넷(Weave Net) 사용하기
        • Autoscale the DNS Service in a Cluster
        • Cloud Controller Manager Administration
        • Configure Quotas for API Objects
        • Control CPU Management Policies on the Node
        • Control Topology Management Policies on a node
        • Debugging DNS Resolution
        • Developing Cloud Controller Manager
        • DNS 서비스 사용자 정의하기
        • Enabling Service Topology
        • Encrypting Secret Data at Rest
        • IP Masquerade Agent User Guide
        • Limit Storage Consumption
        • Migrate Replicated Control Plane To Use Cloud Controller Manager
        • Namespaces Walkthrough
        • Operating etcd clusters for Kubernetes
        • Reconfigure a Node's Kubelet in a Live Cluster
        • Reserve Compute Resources for System Daemons
        • Running Kubernetes Node Components as a Non-root User
        • Safely Drain a Node
        • Securing a Cluster
        • Set Kubelet parameters via a config file
        • Share a Cluster with Namespaces
        • Upgrade A Cluster
        • Use Cascading Deletion in a Cluster
        • Using a KMS provider for data encryption
        • Using NodeLocal DNSCache in Kubernetes clusters
        • Utilizing the NUMA-aware Memory Manager
        • 기본 스토리지클래스(StorageClass) 변경하기
        • 네트워크 폴리시(Network Policy) 선언하기
        • 노드에 대한 확장 리소스 알리기
        •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해 CoreDNS 사용하기
        • 중요한 애드온 파드 스케줄링 보장하기
        • 쿠버네티스 API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하기
        • 쿠버네티스 API를 사용하여 클러스터에 접근하기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sysctl 사용하기
        • 클러스터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에 접근
        • 퍼시스턴트볼륨 반환 정책 변경하기
      • 파드와 컨테이너 설정
        • 컨테이너 및 파드 메모리 리소스 할당
        • Assign CPU Resources to Containers and Pods
        • Create a Windows HostProcess Pod
        • 윈도우 파드 및 컨테이너에서 RunAsUserName 구성
        • 윈도우 파드와 컨테이너용 GMSA 구성
        • 파드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 구성
        • Assign Extended Resources to a Container
        • 스토리지의 볼륨을 사용하는 파드 구성
        • 스토리지로 퍼시스턴트볼륨(PersistentVolume)을 사용하도록 파드 설정하기
        • Configure a Pod to Use a Projected Volume for Storage
        • Configure a Security Context for a Pod or Container
        • Configure Service Accounts for Pods
        • 프라이빗 레지스트리에서 이미지 받아오기
        • Configure Liveness, Readiness and Startup Probes
        • 노드 어피니티를 사용해 노드에 파드 할당
        • 노드에 파드 할당
        • 초기화 컨테이너에 대한 구성
        • Attach Handlers to Container Lifecycle Events
        • Configure a Pod to Use a ConfigMap
        • Share Process Namespace between Containers in a Pod
        • 스태틱(static) 파드 생성하기
        • Translate a Docker Compose File to Kubernetes Resources
        • Enforce Pod Security Standards by Configuring the Built-in Admission Controller
        • Enforce Pod Security Standards with Namespace Labels
        • Migrate from PodSecurityPolicy to the Built-In PodSecurity Admission Controller
      • 쿠버네티스 오브젝트 관리
        • 구성 파일을 이용한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의 선언형 관리
        • Kustomize를 이용한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의 선언형 관리
        • 명령형 커맨드를 이용한 쿠버네티스 오브젝트 관리하기
        • 구성파일을 이용한 명령형 쿠버네티스 오브젝트 관리
        • Update API Objects in Place Using kubectl patch
      • 시크릿(Secret) 관리
        • kubectl을 사용한 시크릿 관리
        • 환경 설정 파일을 사용하여 시크릿을 관리
        • kustomize를 사용하여 시크릿 관리
      •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주입하기
        • 컨테이너를 위한 커맨드와 인자 정의하기
        • 종속 환경 변수 정의하기
        • 컨테이너를 위한 환경 변수 정의하기
        • 환경 변수로 컨테이너에 파드 정보 노출하기
        • 파일로 컨테이너에 파드 정보 노출하기
        • 시크릿(Secret)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자격증명 배포하기
      • 애플리케이션 실행
        • 디플로이먼트(Deployment)로 스테이트리스 애플리케이션 실행하기
        • 단일 인스턴스 스테이트풀 애플리케이션 실행하기
        • Run a Replicated Stateful Application
        • 스테이트풀셋(StatefulSet) 확장하기
        • 스테이트풀셋(StatefulSet) 삭제하기
        • 스테이트풀셋(StatefulSet) 파드 강제 삭제하기
        • Horizontal Pod Autoscaling
        • HorizontalPodAutoscaler 연습
        • Specifying a Disruption Budget for your Application
        • 파드 내에서 쿠버네티스 API에 접근
      • 잡(Job) 실행
        • 크론잡(CronJob)으로 자동화된 작업 실행
        • 작업 대기열을 사용한 거친 병렬 처리
        • Indexed Job for Parallel Processing with Static Work Assignment
        • 작업 대기열을 사용한 정밀 병렬 처리
        • 확장을 사용한 병렬 처리
      • 클러스터 내 어플리케이션 접근
        • 쿠버네티스 대시보드를 배포하고 접속하기
        • 클러스터 접근
        • 다중 클러스터 접근 구성
        • 포트 포워딩을 사용해서 클러스터 내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하기
        • 클러스터 내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하기 위해 서비스 사용하기
        • 서비스를 사용하여 프론트엔드를 백엔드에 연결
        • Create an External Load Balancer
        • NGINX 인그레스(Ingress) 컨트롤러로 Minikube에서 인그레스 설정하기
        • 클러스터 내 모든 컨테이너 이미지 목록 보기
        • 공유 볼륨을 이용하여 동일한 파드의 컨테이너 간에 통신하기
        • 클러스터의 DNS 구성하기
        • Access Services Running on Clusters
      • 모니터링, 로깅, 그리고 디버깅
        • 동작 중인 파드 디버그
        • 동작중인 컨테이너의 셸에 접근하기
        • 리소스 메트릭 파이프라인
        • 리소스 모니터링 도구
        • 스테이트풀셋 디버깅하기
        • 초기화 컨테이너(Init Containers) 디버그하기
        • 클러스터 트러블슈팅
        • 트러블슈팅하기
        • 파드 실패의 원인 검증하기
        • 파드와 레플리케이션컨트롤러(ReplicationController) 디버그하기
      • 쿠버네티스 확장
        • Configure the Aggregation Layer
        • Use Custom Resources
          • Extend the Kubernetes API with CustomResourceDefinitions
          • Versions in CustomResourceDefinitions
        • 확장 API 서버 설정
        • Configure Multiple Schedulers
        • Use an HTTP Proxy to Access the Kubernetes API
        • Konnectivity 서비스 설정
      • TLS
        • Kubelet의 인증서 갱신 구성
        • Manual Rotation of CA Certificates
        • 클러스터에서 TLS 인증서 관리
      • 클러스터 데몬 관리
        • 데몬셋(DaemonSet)에서 롤링 업데이트 수행
        • 데몬셋(DaemonSet)에서 롤백 수행
      • 서비스 카탈로그
        • Install Service Catalog using Helm
        • SC로 서비스 카탈로그 설치하기
      • 네트워킹
        • HostAliases로 파드의 /etc/hosts 항목 추가하기
        • IPv4/IPv6 이중 스택 검증
      • Configure a kubelet image credential provider
      • GPU 스케줄링
      • HugePages 관리
      • 플러그인으로 kubectl 확장
    • 튜토리얼
      • Hello Minikube
      • 쿠버네티스 기초 학습
        • 클러스터 생성하기
          • Minikube를 사용해서 클러스터 생성하기
          • 대화형 튜토리얼 - 클러스터 생성하기
        • 앱 배포하기
          • kubectl을 사용해서 디플로이먼트 생성하기
          • 대화형 튜토리얼 - 앱 배포하기
        • 앱 조사하기
          • 파드와 노드 보기
          • 대화형 튜토리얼 - 앱 조사하기
        • 앱 외부로 노출하기
          • 앱 노출을 위해 서비스 이용하기
          • 대화형 튜토리얼 - 앱 노출하기
        • 앱 스케일링하기
          • 복수의 앱 인스턴스를 구동하기
          • 대화형 튜토리얼 - 앱 스케일링하기
        • 앱 업데이트하기
          • 롤링 업데이트 수행하기
          • 대화형 튜토리얼 - 앱 업데이트 하기
      • 설정
        • 예제: Java 마이크로서비스 구성하기
          • MicroProfile, 컨피그맵(ConfigMaps) 및 시크릿(Secrets)을 사용하여 구성 외부화(externalizing)
          • 대화형 튜토리얼 - Java 마이크로서비스 구성하기
        • 컨피그맵을 사용해서 Redis 설정하기
      • 보안
        • AppArmor를 사용하여 리소스에 대한 컨테이너의 접근 제한
        • 파드 시큐리티 스탠다드를 네임스페이스 수준에 적용하기
        • 파드 시큐리티 스탠다드를 클러스터 수준에 적용하기
        • Restrict a Container's Syscalls with seccomp
      • 상태 유지를 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
        • 외부 IP 주소를 노출하여 클러스터의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기
        • 예시: Redis를 사용한 PHP 방명록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
      • 상태 유지가 필요한(stateful) 애플리케이션
        • 스테이트풀셋 기본
        • 예시: WordPress와 MySQL을 퍼시스턴트 볼륨에 배포하기
        • 예시: 카산드라를 스테이트풀셋으로 배포하기
        • 분산 시스템 코디네이터 ZooKeeper 실행하기
      • 서비스
        • 소스 IP 주소 이용하기
    • 레퍼런스
      • 용어집
      • API 개요
        • Kubernetes API Concepts
        • Server-Side Apply
        •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
        • Kubernetes Deprecation Policy
        • Deprecated API Migration Guide
        • 쿠버네티스 API 헬스(health) 엔드포인트
      • API 접근 제어
        • Authenticating
        • Authenticating with Bootstrap Tokens
        • Certificate Signing Requests
        • Using Admission Controllers
        • Dynamic Admission Control
        • 서비스 어카운트 관리하기
        • 인가 개요
        • Using RBAC Authorization
        • Using ABAC Authorization
        • Using Node Authorization
        • Mapping PodSecurityPolicies to Pod Security Standards
        • Webhook Mode
      • Well-Known Labels, Annotations and Taints
        • Audit Annotations
      • 잘 알려진 레이블, 어노테이션, 테인트(Taint)
      • Kubernetes API
        • Workload Resources
          • Pod
          • PodTemplate
          • ReplicationController
          • ReplicaSet
          • Deployment
          • StatefulSet
          • ControllerRevision
          • DaemonSet
          • Job
          • CronJob
          • HorizontalPodAutoscaler
          • HorizontalPodAutoscaler
          • HorizontalPodAutoscaler v2beta2
          • PriorityClass
        • Service Resources
          • Service
          • Endpoints
          • EndpointSlice
          • Ingress
          • IngressClass
        • Config and Storage Resources
          • ConfigMap
          • Secret
          • Volume
          • PersistentVolumeClaim
          • PersistentVolume
          • StorageClass
          • VolumeAttachment
          • CSIDriver
          • CSINode
          • CSIStorageCapacity v1beta1
        • Authentication Resources
          • ServiceAccount
          • TokenRequest
          • TokenReview
          • CertificateSigningRequest
        • Authorization Resources
          • LocalSubjectAccessReview
          • SelfSubjectAccessReview
          • SelfSubjectRulesReview
          • SubjectAccessReview
          • ClusterRole
          • ClusterRoleBinding
          • Role
          • RoleBinding
        • Policy Resources
          • LimitRange
          • ResourceQuota
          • NetworkPolicy
          • PodDisruptionBudget
          • PodSecurityPolicy v1beta1
        • Extend Resources
          • CustomResourceDefinition
          • MutatingWebhookConfiguration
          • ValidatingWebhookConfiguration
        • Cluster Resources
          • Node
          • Namespace
          • Event
          • APIService
          • Lease
          • RuntimeClass
          • FlowSchema v1beta2
          • PriorityLevelConfiguration v1beta2
          • Binding
          • ComponentStatus
        • Common Definitions
          • DeleteOptions
          • LabelSelector
          • ListMeta
          • LocalObjectReference
          • NodeSelectorRequirement
          • ObjectFieldSelector
          • ObjectMeta
          • ObjectReference
          • Patch
          • Quantity
          • ResourceFieldSelector
          • Status
          • TypedLocalObjectReference
        • Common Parameters
      • Node Reference Information
        • Articles on dockershim Removal and on Using CRI-compatible Runtimes
      • 쿠버네티스 이슈와 보안
        • 쿠버네티스 이슈 트래커
        • 쿠버네티스 보안과 공개 정보
      • 설치 도구
        • Kubeadm
      • 포트와 프로토콜
      • kubectl
        • kubectl Commands
        • kubectl 개요
        • JSONPath 지원
        • kubectl
        • kubectl 사용 규칙
        • kubectl 치트 시트
        • 도커 사용자를 위한 kubectl
      • 컴포넌트 도구
        • 기능 게이트
        • kubelet
        • kube-apiserver
        • kube-controller-manager
        • kube-proxy
        • kube-scheduler
        • Kubelet 인증/인가
        • TLS bootstrapping
      • Configuration APIs
        • Client Authentication (v1)
        • Client Authentication (v1beta1)
        • kube-apiserver Audit Configuration (v1)
        • kube-apiserver Configuration (v1)
        • kube-apiserver Configuration (v1alpha1)
        • kube-apiserver Encryption Configuration (v1)
        • kube-proxy Configuration (v1alpha1)
        • kube-scheduler Configuration (v1beta2)
        • kube-scheduler Configuration (v1beta3)
        • kubeadm Configuration (v1beta2)
        • kubeadm Configuration (v1beta3)
        • Kubelet Configuration (v1alpha1)
        • Kubelet Configuration (v1beta1)
        • Kubelet CredentialProvider (v1alpha1)
        • WebhookAdmission Configuration (v1)
      • 스케줄링
        • 스케줄러 구성
        • 스케줄링 정책
      • 도구
    • 기여
      • 콘텐츠 개선 제안
      • 새로운 콘텐츠 기여하기
        • 풀 리퀘스트 열기
        • Documenting for a release
        • Blogs and case studies
      • 변경 사항 리뷰하기
        • 풀 리퀘스트 리뷰
        • 승인자와 리뷰어용
      • Localizing Kubernetes documentation
      • SIG Docs에 참여하기
        • 역할과 책임
        • PR 랭글러(PR Wrangler)
      • 레퍼런스 문서 개요
        • Contributing to the Upstream Kubernetes Code
        • 퀵스타트 가이드
        • Generating Reference Documentation for the Kubernetes API
        • Generating Reference Documentation for kubectl Commands
        • Generating Reference Pages for Kubernetes Components and Tools
      • 문서 스타일 개요
        • Content guide
        • Style guide
        • Diagram guide
        • 새로운 주제의 문서 작성
        • Page content types
        • Content organization
        • Custom Hugo Shortcodes
      • 고급 기여
      • 사이트 분석 보기
      • 쿠버네티스 문서 한글화 가이드
    • Docs smoke test page (EN)
  1. 쿠버네티스 문서
  2. 레퍼런스
  3. 컴포넌트 도구

컴포넌트 도구


기능 게이트

kube-proxy

Kubelet 인증/인가

피드백

이 페이지가 도움이 되었나요?

피드백 감사합니다. 쿠버네티스 사용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이고 답변 가능한 질문이 있다면, 다음 링크에서 질문하십시오. Stack Overflow. 원한다면 GitHub 리포지터리에 이슈를 열어서 문제 리포트 또는 개선 제안이 가능합니다..

최종 수정 March 24, 2021 at 11:13 PM PST: Update to Outdated files in the dev-1.20-ko.7 branch part. 1. (b59a32dfbc)
페이지 편집 하부 페이지 생성 이슈 생성 전체 섹션 프린트
홈 블로그 교육 파트너 커뮤니티 사례 연구
© 2024 The Kubernetes Authors | Documentation Distributed under CC BY 4.0
Copyright © 2024 The Linux Foundation ®. All rights reserved. The Linux Foundation has registered trademarks and uses trademarks. For a list of trademarks of The Linux Foundation, please see our Trademark Usage page
ICP license: 京ICP备17074266号-3
  • 문서
  • 쿠버네티스 블로그
  • 교육
  • 파트너
  • 커뮤니티
  • 사례 연구
  • 버전
  • Release Information
  • v1.23
  • v1.22
  • v1.21
  • v1.20
  • v1.19
  • 한국어 Korean
  • English
  • 中文 Chinese
  • 日本語 Japanese
  • Français
  • Deutsch
  • Español